CS 4

[Web] HTTP와 HTTPS의 차이 및 HTTPS 사용의 장점

📖 HTTP와 HTTPS의 차이 및 HTTPS 사용의 장점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주소창에 http:// 또는 https:// 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프로토콜)으로, 보안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1. HTTP와 HTTPS의 차이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HTTP는 웹사이트와 사용자의 브라우저(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입니다.하지만 HTTP에는 암호화 기능이 없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해킹, 도청, 변조 위험이 존재합니다.예를 들어, HTTP 사이트에서 로그인할 경우 해커가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

CS 2025.02.28

[OS] 프로세스와 스레드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CPU 성능과 병렬 처리 관점 1. 프로세스와 스레드란?컴퓨터에서 여러 작업을 수행할 때, 운영체제(OS)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이때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 개념이 등장한다. 2. 프로세스(Process)란?운영체제로부터 CPU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하나)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됨하나의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프로세스 간 데이터 공유는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방식 필요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음 ✅ 예시브라우저에서 탭 하나당 하나의 프로세스VSCode, Chro..

CS 2025.02.27

[Web] 캐시(Cache)

1. 캐시(Cache)란?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 메모리 또는 저장소를 의미한다.컴퓨터에서는 CPU와 메모리(RAM) 사이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캐시를 사용한다.캐시는 보다 빠른 데이터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 캐시가 필요한 이유캐시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은 임시 저장소이다.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로직에서 사용된다.캐시가 없다면변경되지 않는 고정 데이터조차 매번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받아야 하므로 비용과 성능 문제가 발생한다.불필요한 데이터 요청이 반복되면 데이터 비용이 증가하고 사용자의 로딩 속도가 느려지는 경험을 초래한다.캐시를 사용하면새로고침 시 반복되는 데이터를 네트..

CS 2025.02.26

[Web] 쿠키, 로컬스토리지, 세션스토리지 차이점 및 활용법

웹 개발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세션 스토리지(SessionStorage), 쿠키(Cookie)가 많이 사용됩니다.  1.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로컬 스토리지는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아도 데이터가 유지되며, 같은 도메인 내에서는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지속성: 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열어도 데이터가 유지됨저장 용량: 일반적으로 5MB 이상 저장 가능보안: 서버로 자동 전송되지 않음 (XSS 공격에 취약할 수 있음)접근 방식:// 데이터 저장localStorage.setItem("key", "value");// 데이터 가져오기const value = localSt..

CS 2025.02.21